컬럼 10

"예수 안에서 사는 삶"

예수 안에서 사는 삶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예수님 안에 거하기를 원하십니다.그래서 예수님 안에 거하라고 명령하십니다. 예수님 안에 거할 때에 생명이 있기 때문입니다.예수님은 포도나무요, 우리는 그 포도나무에 붙어있는 가지입니다.만약 우리가 포도나무이신 예수님으로부터 떨어져 나간다면 우리는 생명을 잃어버리게 됩니다.아무리 잘나고 성공했을지라도 예수님 밖에서 살았다면 생명이 없는 것이며,마지막 날 지옥 불에 던져질 땔감밖에 되지 않는 것입니다.그러나 예수님 안에서 살면 우리 인생은 아름다운 꽃이 피고 귀한 열매를 맺게 됩니다.그러면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사는 삶의 원리는 무엇입니까?​첫째로, 예수 안에서 사는 삶은 세상이 줄 수 없는 만족을 누리는 삶입니다. 인생의 만족이 과연 어디에 있습니까? 돈에 ..

컬럼 2024.12.19

12월은 용서와 회복의 달!

추위가 더욱 깊이 더욱 빠르게 우리의 영혼에 스며드는 계절입니다.생각해보니 너무 많은 일들이 일어났던 한 해였습니다.너무 많은 상처를 받았고, 심히 아파했으며, 많은 눈물을 흘렸고,슬픔과 외로움 속에서 날마다 "주님, 도와주세요!"를 외쳤던 나날들이었습니다.채 낫지도 않은 상처 위에 또다른 상처가 덧입혀져 심장을 에이는 아픔도 겪었습니다.그리고 나 또한 나도 모르게 그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기도 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제 우리는 서로를 용서하고 용서받으며 한 해의 성찰과 반성을 해야 합니다."저는 사람들에게 너무 많은 상처를 받으며 살아요.아무 말하지 않고 차가운 표정으로 저를 쳐다보기만 해도 상처받는 것 같아요.어렸을 때부터 사람들이 무서웠고 부모님도 무서웠어요.성인이 된 지금도 사람들과 대인관계 ..

컬럼 2024.12.19

12월은 용서와 회복의 달!

추위가 더욱 깊이 더욱 빠르게 우리의 영혼에 스며드는 계절입니다.생각해보니 너무 많은 일들이 일어났던 한 해였습니다.너무 많은 상처를 받았고, 심히 아파했으며, 많은 눈물을 흘렸고,슬픔과 외로움 속에서 날마다 "주님, 도와주세요!"를 외쳤던 나날들이었습니다.채 낫지도 않은 상처 위에 또다른 상처가 덧입혀져 심장을 에이는 아픔도 겪었습니다.그리고 나 또한 나도 모르게 그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기도 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제 우리는 서로를 용서하고 용서받으며 한 해의 성찰과 반성을 해야 합니다."저는 사람들에게 너무 많은 상처를 받으며 살아요.아무 말하지 않고 차가운 표정으로 저를 쳐다보기만 해도 상처받는 것 같아요.어렸을 때부터 사람들이 무서웠고 부모님도 무서웠어요.성인이 된 지금도 사람들과 대인관계 ..

컬럼 2024.12.05

❤ 감 사 ❤

미국의 실업가 중에 ‘스탠리 탠‘ 박사가 있습니다. 그는 회사를 크게 세우고 돈을 많이 벌어서 유명하게 되었는데, 1976년에 갑자기 병이 들었습니다. 척추암 3기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당시 척추암은 수술로도 약물로도 고치기 힘든 병이었습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사람들은 그가 절망 가운데 곧 죽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는데, 몇 달 후에 그가 병상에서 자리를 툭툭 털고 일어나 다시 출근 했습니다. 사람들은 깜짝 놀라서, “아니 어떻게 병이 낫게 된 것입니까?” 하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스탠리 탠은 “아 네, 전 하느님 앞에 감사만 했습니다. 그랬더니 병이 다 나았습니다”하고 대답하였습니다. 전 이렇게 기도했습니다.“하느님, 병들게 된 것도 감사합니다. 병들어 죽게 되어도 감사합니다. 하느님, 저는 죽음 앞..

컬럼 2024.11.14

그리스도인이란 ?

‘그리스도인’의 사전적 정의는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는 믿음을 고백하는 사람 또는 예수의 가르침에 기초한 종교를 믿는 사람”입니다. 사전적 정의를 아는 것이 다른 경우들처럼 좋은 출발점이긴 하지만, 그리스도인이 진정 누구인가에 대한 성경적 진리를 다 알기엔 부족합니다. ‘그리스도인’이라는 단어는 신약성경에 세 번 나옵니다(행 11:26; 26:28; 벧전 4:16).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들은 안디옥에서 처음으로 그리스도인이라고 불렸는데(행 11:26), 그 이유는 그들의 말, 행동, 활동이 그리스도를 닮았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인’의 문자적인 뜻은 “그리스도의 파에 속하는” 또는 “그리스도의 추종자”입니다.시간이 지나면서 불행히도 ‘그리스도인’이라는 말은 본래의 의미를 많이 상실했습니다. 예수..

컬럼 2024.11.07

교회는 어떤 공동체인가?

교회 공동체의 성격 이제 단순히 교회가 공동체라고 선언하기보다 어떤 공동체여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해야 할 때다그렇다면 교회는 어떠한 공동체가 돼야 하는가? 성경에는 공동체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포함돼 있다. 대표적으로 사도행전에 나타나는 초대교회는 ‘유무상통하는 공동체’라고 이해된다.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가 내 것, 네 것 가리지 않고 필요에 따라 나누는 본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동체의 모습은 구약에서도 발견된다.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자신의 백성으로 삼으시고 광야에서 가나안으로 인도하셨고,이후에 포로기를 거쳐서 귀환하는 과정 모두가 이들을 하나님을 예배하는 신앙공동체로 훈련시키는 과정으로 묘사된다. 특히 에스라와 느헤미야의 개혁은 하나님의 예배 공동체를 확고히 세우기 위한 과정으로 해석될 ..

컬럼 2024.10.31

교회 부흥에 필요한 5가지 진리 (기도의 능력, 거룩함, 믿음의 긴급성, 복음의 긴급성, 청년들의 잠재성)

교회 안의 부흥과 영적 각성에 대한 긴급성을 깨달아야 할 때가 왔다우리를 흔들어 깨우시는 성령님의 음성에 답할 때가 왔다. 최근 영국 크리스천투데이는 '교회가 부흥을 경험하기 위해 깨어있어야 하는 5가지 진리'이라는 제목의 칼럼을 소개했다.1. 기도의 능력 "그러므로 내가 첫째로 권하노니 모든 사람을 위하여 간구와 기도와 감사를 하되 임금들과 높은 지위에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하라 이는 우리가 모든 경건과 단정한 중에 고요하고 평안한 생활을 하려 함이니라 이것이 우리 구주 하나님 앞에 선하고 받으실 만한 것이니 하나님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으며 진리를 아는데 이르기를 원하시느니라"(딤전 2:1~4)기도가 우리 사역에 있어서 열차의 객실이 아닌 엔진이 될 때, 교회는 멈출 수 없는 열차가 되어 상상할..

컬럼 2024.10.22

" 기도를 배워야 한다"

제자들이 예수님께 기도를 가르쳐달라고 요청할 때 예수님 께서는 "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시면서 그 유명한 " 주기도문" 을 가르쳐주셨다.(마6:9-13) 만약 기도를 배워야 할 필요가 없었다면 구태어 주님이 기도를 가르치시지 않았을 것이다주님이 "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시면서 만고에 불변하는 기독교 기도의 핵심이요 모형을 가르쳐주신 것은 모든 신자가 필히 기도를 배워야 할 것임을 시사하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기도를 배워야한다기도는 본질상 하나님과의 교통이기 때문에 정해진 정형이 있는 것은 아니나 성숙한 그리스도인은 분명 일정한 원리와 형식의 모범을 따라 기도함이 당연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일차적으로 주기도문의 형식과 내용을 잘 숙지하고 따르는 것이 요긴하다아무리 기도가 길고 특별한 경우에 행..

컬럼 2024.10.21

영적인 성장이란 무엇인가?

영적인 성장은 예수 그리스도를 더욱 더 닮아가는 과정입니다.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에게 믿음을 둘 때, 성령께서는 우리가 예수님의 형상을 본받도록 그분을 더욱 닮아가게 하는 과정을 시작하십니다. 영적 성장은 아마 베드로후서 1장 3-8절에 가장 잘 묘사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이 본문은 우리가 영적인 성장의 목적인 경건한 삶을 사는데 “필요한 모든 것”을 하나님의 능력에 의해 다 가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주목할 것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우리를 부르신 이를 앎으로” 오며, 그분을 아는 것은 우리에게 필요한 모든 것을 얻어내는 열쇠라는 사실입니다.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우리 교육과 성장을 위해 주어진 말씀으로부터 기인합니다.갈라디아서 5장 19-23절에는 두 가지 목록이 있습니다. 19-21절은 ‘육체의..

컬럼 2024.10.19

하나님의 은혜란 무엇입니까?

은혜의 정의: 은혜는 하나님의 무조건적이고도 자의적인 사랑을 가리키는 말이다. ​즉, 넓은 의미로는 대상의 가치나 공적에 관계없이 주어진 하나님의 사랑 곧 모든 피조물들에게 베풀어진 하나님의 자비로운 역사와 선하심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좁은 의미로은 아담의 범죄와 타락 이후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십자가 수난, 부활 등의 사역을 통해 나타난 죄인들에 대한 하나님의 적극적이고도 자기 희생적인 사랑과 관심을 뜻한다 은혜는 성경에서 끊임없이 나오는 주제이며,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심으로 인해 신약에서는 그 절정에 이르게 됩니다 (요 1:17). 신약에서 “은혜”로 번역된 단어는 헬라어 카리스(charis) 로 “호의, 축복, 친절”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에게 은혜를 베풀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은혜..

컬럼 2024.09.29